50대월급쟁이 홈블로그
대한민국 블로거 "50대 월급쟁이"가 운영하는 블고르의 홈블로그 입니다. 재테크부터 프로야구까지 대한민국의 평범한 50대 월급쟁이들이 궁금하고 관심이 많은 정보들을 위주로 운영하고자 합니다.

[2025년 9월 18일] KOSPI 마감 시황, 코스피·코스닥 사상 최고가 경신, 반도체가 시장을 이끌다

 

[2025년 9월 18일] KOSPI 마감 시황, 코스피·코스닥 사상 최고가 경신, 반도체가 시장을 이끌다

오늘 코스피는 전거래일 대비 1.40% 오른 3,461.30에 거래를 마감하며 종가 기준 최고치를 다시 썼습니다. 코스닥도 1.37% 상승해 857.11포인트로 장을 마쳤습니다. FOMC 금리 인하 및 연내 추가 인하 신호, 정부 대규모 투자 계획에 대한 기대감이 시장에 확실한 동력을 제공했습니다.


1. 수급 동향과 기관·외국인 매수세

기관이 4,253억 원, 외국인이 3,420억 원 순매수를 기록하며 랠리를 견인했습니다. 개인 투자자는 8,450억 원 순매도에 나서면서 차익 실현에 집중하는 분위기였습니다. 코스닥에서도 외국인(867억원), 기관(1,599억원) 동반 매수세가 두드러졌습니다.


2. 시가총액 상위주와 섹터별 주요 흐름

삼성전자(2.94%)가 ‘8만전자’로 복귀했고, SK하이닉스(5.85%)는 신고가를 재차 경신하며 ‘35만닉스’라는 별명을 얻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1.29%), 삼성바이오로직스(0.88%), 현대차(1.16%), 기아(1.09%) 등 대형주도 강세를 보였고, 반면 KB금융(-0.76%), HD현대중공업(-1.28%), 한화에어로스페이스(-0.68%) 등이 약세를 보였습니다. 상승 종목이 591개, 하락 264개로 압도적인 상승 동력이 나타났습니다.


3. 오늘 랠리의 의미와 전략

  • 반도체 쏠림 현상: 코스피 상승분의 75%는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투톱’ 반도체주가 이끌었으며, 대형주 비중이 적은 투자자들은 시장 수익률을 따라잡기 어려웠다는 전문 해설이 나왔습니다.
  • FOMC 이후 ‘포모’ 심리와 정부 드라이브: FOMC 금리 인하와 정부의 AI·반도체·로봇·수소 펀드 투자 정책 발표로 기관들이 빠르게 매수에 나섰다는 평가, 정책 변화가 시장을 바꿀 수 있다는 진단도 있었습니다.
  • 대형주 중심 순환매: 기관의 집중 매수 상위 종목은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대형주 위주였으며, 일부 로봇, 신성장 섹터(캠트로닉스, 미래에셋벤처투자 등)에도 매기가 유입되었습니다.


4. 투자자 주목 포인트

  • 오늘 반등은 금리 인하, 정부 수급, 정책 모멘텀 등 다중 요인이 결합된 결과.
  • 반도체·로봇·AI·수소 등 신산업, 대형 성장주 중심의 포트폴리오 전략이 유효.
  • 최근 매도세가 강했던 개인 투자자들은 섹터별 차별화와 눌림목 매수 전략을 병행할 필요가 있음.


5. 참고 블로그

오늘 시황과 투자 전략을 심도있게 다루는 아래 블로그에서 보다 상세한 전문가 분석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