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50대 월급쟁이입니다.
박근형 부장 – '패닉셀링'보단 냉정한 분할매수가 해법
박근형 부장은 이날의 급락이 AI 버블 경계감과 밸류에이션 부담이 단기 과열 해소로 이어진 결과임을 진단합니다. 연준의 금리 방향 등 매크로 불확실성을 배경으로, 시장은 추세 전환보다는 일시적 과열 해소 국면에 가깝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는 단기 공포에 흔들려 '패닉셀링'을 하기보다, 오히려 20일선 등 의미있는 지지 구간에서 분할매수로 비중을 천천히 늘릴 것을 강조합니다. 실제로 고객 예탁금이 사상 최고치에 근접하는 등 개인의 저점매수 수급과 방어력이 돋보였고, 중장기 상승 기대감도 여전하다는 견해를 밝혔습니다.
염승환 이사 – 'AI 급락', 구조적 기회로 활용하라
염승환 이사는 이번 급락이 올해 내내 가파르게 올랐던 AI·반도체에 대한 밸류 부담과 미국발 기술주 악재가 맞물려 출현한 ‘필요한 조정’이라고 정리합니다. 특히 외국인 차익실현과 추가 조정 가능성을 인정하면서도, 시장 상승의 본질(구조적 강세 모멘텀)은 훼손되지 않았다고 진단합니다.
그는 트레이딩 관점보다는 추가 급락시 강한 종목과 테마를 분할 접근하는 전략, 저점 증시 반등 구간에서 실적·기초체력이 뛰어난 종목 위주 선별 매수를 제시합니다.
김민수 대표·박현상 부장 – 예측보다 대응, 바닥 확인 임박?
김민수 대표와 박현상 부장은 “누구도 내일 시장을 예측할 수 없다”는 점을 강하게 피력하며, 시황·금리·환율·정책 변수 등 복합적 악재가 단기 급등 피로와 만나 급락 패턴을 만들었음을 짚었습니다.
하지만 21일선, 밸류 하단 등 기술적·심리적 지지선 근처에서는 반등이 자주 나타난다는 점, 개인과 기관의 저가 매수세 지속 등은 시장의 펀더멘털 신뢰심을 보여준다고 해석합니다. 요동치는 구간일수록 “예측 대신 신속 대응, 분할·분산 접근”을 기본 원칙으로 삼을 것을 조언합니다.
클로징벨라이브 – 4000선 방어, 순환매의 힘 재확인
클로징벨라이브는 급락 속에서도 코스피가 4000선에 다시 복귀한 것에 주목합니다. 외국인 대량 매도와 IT·반도체 시총주 부진이 시장을 흔들었지만, 에너지, 남북경협, 의료 바이오, 실적주 중심의 강세와 개인 저가매수로 반발 매수세가 살아났다고 평합니다.
바닥 터치 후 4000선 복귀는 순환매·실적 장세가 강하게 유지되고 있음을 방증하는 것이며, 지나친 공포보다는 시장 펀더멘털을 꼼꼼히 체크하면서 종목별·업종별 내실에 집중할 것을 권고합니다.
마무리
변동성이 유난히 두드러졌던 오늘, 각 전문가들의 분석은 ‘예측’이 아니라 ‘대응’의 중요성, 그리고 투자 원칙의 재점검을 다시 한 번 상기시켜 줍니다. 흔들리지 않는 전략과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로 급등락장의 파도를 현명하게 건너는 하루가 되시기 바랍니다.


%200-4%20screenshot.jpg)
%20_%20%EC%9D%B8%ED%8F%AC%EB%A7%A5%EC%8A%A4%EB%9D%BC%EC%9D%B4%EB%B8%8C%20251104%203-4%20screenshot.jpg)
